반응형
반응형
표고버섯아시아가 원산지인 버섯으로, 특유의 향과 맛, 그리고 뛰어난 영양 성분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식용 및 약용 버섯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귀한 식재료이자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대에도 건강 식단에 빠지지 않는 중요한 식재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 이름 : 표고(椎茸)▶ 영어명 : Shiitake▶ 학명 : Lentinula edodes▶ 속명 유래 : '표(椎)'는 떡갈나무, '고(茸)'는 버섯을 뜻함 → 떡갈나무에서 자라는 버섯▶ 분류 :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표고버섯과 1. 표고버섯 형태적 특징▶ 갓 (Pileus)▪ 모양 : 어린 시절엔 둥글고 말려 있다가 성장하면 평평하거나 오목한 형태로 변함.▪ 크기 : 직경 5~15cm, 때로는 그 이상.▪ 색깔 : 황갈색~짙은..
영지버섯(靈芝)이란?한약재로 널리 사용되는 버섯의 일종으로, 옻칠을 한 것과 같은 광택이 있는 짙은 색의 버섯으로, "불로초"라고도 불립니다. 한국에서는 영지 또는 불로초, 중국에서는 신지, 여의지 등으로 불리며, 일본에서는 만년버섯 등으로 불립니다. 동아시아 국가에서 약용 및 장식용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습니다. ▶ 학명 : Ganoderma lucidum▶ 분류 : 구멍장이버섯목 불로초과에 속하는 버섯▶ 속명 'Ganoderma'는 그리스어로 '빛나는 껍질'이라는 뜻▶ 영어명 : Lingzhi, Reishi mushroom▶ 생김새 : 광택이 나는 갈색~자주색 부채 모양 1. 영지버섯의 기원 및 역사▶ 영지버섯의 기원▪ 생물학적 기원 : 약 3,800만 년 전 에오세 후반기, 중국에서 처음 등장한 ..
노루궁뎅이버섯노루의 엉덩이를 닮은 복슬복슬하고 하얀 생김새가 특징인 버섯입니다. 과거에는 자연에서 매우 희귀하게 발견되는 귀한 버섯이었으나, 최근에는 인공 재배 기술이 발달하여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지고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 강화와 뇌 건강에 탁월한 효능으로 인해 건강식품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 학명 : Hericium erinaceus▶ 분류 : 주름버섯목(Hericiales), 노루궁뎅이버섯과(Hericiaceae)▶ 모양 : 하얗고 부드러운 털뭉치처럼 생김▶ 서식지 : 주로 참나무, 밤나무, 너도밤나무 등 활엽수의 썩은 나무에서. 1. 노루궁뎅이 버섯 자생지 환경 ▶ 기주 식물▪ 활엽수 선호 : 침엽수보다는 참나무, 너도밤나무, 단풍나무 등 활엽수에서 자람.▪ 기생 위치 : 건강한 나무보..
꽃송이 버섯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그 이름처럼 활짝 핀 꽃송이 모양을 닮아 아름다운 모습을 자랑하는 버섯입니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해발 1,000m 이상 고지의 침엽수 그루터기나 죽은 나무 주변에서 자생하며, 희귀하고 귀한 식약용 버섯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그 생김새 때문에 '컬리플라워 머쉬룸(Cauliflower Mushroom)'이라고도 불립니다. ▶ 학명 : Sparassis crispa▶ 다른 이름 : 산송이, 백화고(白花菇), 수구화(水菇花)▶ 모양 : 마치 꽃송이나 수세미처럼 부풀고 여러 겹의 주름진 조각들이 겹겹이 자라는 것이 특징.▶ 향 : 특유의 은은하고 고소한 향.▶ 자생지 : 침엽수림의 그루터기나 죽은 나무뿌리 부근. 1. ..
소나무 잔나비버섯소나무에 기생하는 약용버섯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버섯입니다. 주로 침엽수의 살아있는 나무나 고목, 또는 넘어진 나무에서 자라며, 나무를 갈색으로 부패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독특한 외형과 생태학적 역할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습니다. ▶ 학명 : Fomitopsis pinicola▶ 속명 : 잔나비버섯속 (Phellinus spp.)▶ 분류 : 담자균문 → 담자균강 → 주름버섯목 → 잔나비버섯과▶ 생김새 : 부채 모양 또는 말굽 형태, 목질화된 단단한 버섯 1. 소나무잔나비버섯 생태적 특징▶ 서식지▪ 침엽수 선호 :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등 침엽수에서 주로 자람.▪ 활엽수도 가능 : 드물게 자작나무, 참나무 등 활엽수에서도 발견됨.▪ 서식 형태 : 죽은 나무, 고사..
봉삼(鳳蔘, Bong-sam)약재명으로는 백선피(白鮮皮)라고 불리는 백선(白鮮, Dictamnus dasycarpus)이라는 식물의 뿌리를 지칭합니다. 예로부터 그 효능이 신비롭다고 알려져 마치 전설 속 봉황이 깃든 삼(蔘)과 같다고 하여 '봉황삼'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렸습니다. ▶ 학명 : Dictamnus dasycarpus Turcz.▶ 분류 : 운향과(Rutaceae) 백선속(Dictamnus)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서식지 : 전역의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 특히 석회암 지대에서 자생.▶ 수확 시기 : 주로 가을철, 3년 이상 된 뿌리를 약용으로 채취. 1. 봉삼의 형태적 특징▶ 크기 : 줄기는 약 50cm~1m, 곧고 직립함.▶ 줄기 : 끈끈한 액체를 분비하는 작은 선점(샘점)이 많음.→ 햇..
산초 山椒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산초나무는 나무에 붙은 작은 가시와 잎이 서로 어긋나며, 3m 내외로 자란다. 나무의 열매인 산초는 특유의 향과 매운맛을 내는 기름으로 짜고, 열매를 싼 껍질은 빻아 가루 내어 쓴다. 산초는 맛이 맵고 성질이 따스하며 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예나 지금이나 한방에서 약용으로 활용되고, 민간에서는 향미료로 쓰인다. ▶ 학명 : Zanthoxylum schinifolium▶ 산초나무의 열매로, 씨앗을 털어내고 껍질을 말려 조미료로 씀▶ 산초나무 : ‘당의蓎藙’라고 부르기도 함.▶ 맛 : 톡 쏘는 향과 혀를 살짝 마비시키는 특유의 알싸함이 특징. 1. 산초의 형태적 특징▶ 키와 수형 : 3~5m 정도 자라는 작은 키 관목. 가지가 많이 갈라져 덤불 형태를 이루며, 수..
돼지감자란'뚱딴지'라는 별명, '천연 인슐린'이라는 애칭으로 더욱 유명한 돼지감자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감자처럼 땅속 줄기(괴경)를 식용으로 사용합니다. 생김새는 생강이나 감자처럼 울퉁불퉁하고, 맛은 약간 단맛이 있으며, 익히면 고구마처럼 부드러워집니다. ▶ 학명 : Helianthus tuberosus▶ 영문명 : Jerusalem Artichoke (예루살렘 아티초크)▶ 별칭 : 뚱딴지, 땅감자, 투구꽃▶ 원산지 : 북아메리카▶ 재배 시기 : 봄에 심어 가을(10월~11월)에 수확▶ 키 : 1.5~3m까지 자람▶ 꽃 : 해바라기처럼 노란 꽃을 피움▶ 생김새 : 울퉁불퉁한 갈색 뿌리(괴경) 형태 1. 돼지감자 성분▶ 이눌린 : 몸을 가볍게 하고, 지친 장을 다독이며, 혈당을 안정시킴..=>..
토사자(兎絲子)토사자는 새삼이라는 식물의 씨앗으로, 한의학에서는 보양 약재로 널리 쓰입니다. '토사자'라는 이름은 "허리나 다리뼈를 다친 토끼가 이 식물을 먹고 나았다"는 이야기에서 "토끼 토(兎) + 실 사(絲) + 아들 자(子)"로, 가늘고 노란 실처럼 생긴 줄기와, 씨앗의 생김새에서 유래했습니다. ▶ 학명 : Cuscuta chinensis, Cuscuta japonica 등▶ 분류 : 메꽃과(Cuscuta속), 기생식물▶ 생육형태 : 일 년생 덩굴성 기생식물▶ 생장 방식 : 뿌리가 없고,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영양분을 빨아먹음 1. 토사자(새삼)의 자생 환경▶ 기생의 숙주(宿主) 식물새삼은 뿌리가 없어서 스스로 양분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다른 식물에 달라붙어 그 식물의 영양분을 빨아먹고 ..
엉겅퀴엉겅퀴는 우리나라 들판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는 대표적인 자생 약초 중 하나로, 민간요법과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간 건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1. 엉겅퀴란?▶ 학명 : Cirsium setidens▶ 다른 이름 : 고려엉겅퀴, 지느러미엉겅퀴, 은조롱▶ 분류 : 국화과(Compositae), 엉겅퀴속(Cirsium)▶ 생육 환경 : 우리나라 전국의 산과 들, 풀밭 등지▶ 개화 시기 : 6 ~ 9월 (보라색 또는 자주색 꽃을 피움)▶ 서식 환경 : 서늘하고 습기 있는 기후 선호 2. 엉겅퀴 생태적 특징▶ 외형 : 높이는 50~100cm 정도로 자라며, 전체적으로 털이 나 있습니다. ▶ 잎 : 피침상 타원형으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가시가 있습니다. ▶ 꽃..